MACD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는 이동평균수렴확산지수로써 주가의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다시 말하여 단기 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이 주가의 변동으로 인해 수렴과 확산을 반복한다는 원리에 기반을 두고 두 이동평균선의 차이가 가장 큰 시점을 찾아내 추세 변화의 신호로 삼는 지표입니다.
MACD는 주가추세의 힘, 방향성,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MACD는 크게 MACD 선과 시그널선(Signal Line)으로 구성됩니다. MACD 선은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의 차이로 구해지며 일반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의 경우 12일, 장기 이동평균선의 경우 26일이 이용됩니다.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보다 위쪽에 위치하면 MACD선은 양수가 되고 이것은 주가가 상승하는 신호로 여겨집니다. 반대로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보다 아래쪽에 있으면 MACD 선은 음수가 되고 이것은 주가가 하락하는 신호로 여겨집니다.
시그널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MACD 이동평균으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MACD의 9일 이동평균이 이용된다. 즉 12일 동안의 이동평균과 26일 동안의 이동평균을 구한 후 이들 간의 차이를 다시 9일 동안의 이동평균으로 산출합니다.
MACD선과 시그널선이 교차하는 시점이 바로 단기 이동평균과 장기 이동평균간의 차이가 가장 큰것으로 됩니다.
기본공식
MACD = 12일 이동평균 - 26일 이동평균
시그널(SIGNAL) = MACD의 9일 이동평균
오실레이터 = MACD - 시그널
매매기법
MACD선이 시그널선 위로 올라가게 되면 MACD가 9일 동안의 평균보다 높게 형성되었다는 의미이므로 매수신호로 해석합니다.
MACD선이 시그널선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MACD가 9일 동안의 평균보다 낮게 형성되었다는 의미이므로 매도신호로 해석합니다.
MACD값의 의
MACD > 0 : 주가 상승 추세
MACD < 0 : 주가 하락 추세
MACD와 시그널이 골든크로스 (오실레이터가 0 위로 돌파) : 단기적 주가 상승 국면
MACD와 시그널이 데드크로스 (오실레이터가 0 아래 하락) : 단기적 주가 하락 국면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